학습자료실

1997년 5월 24일 시행 국방부 군무원 - 한국사
Date. 2001.04.19
군무원 국방부 국사 97.5.24 시행

1. 다음 중 고조선 사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족 제도는 가부장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었다.
2) 부계사회를 중심으로 한 씨족연맹체였다.
3) 노예가 없었던 평등 사회였다.
4) 인명이 존중되고 형벌 제도가 있었다.

2. 다음 중 신석기 시대의 사실로 옳은 것은?
1) 초기적인 국가 형태가 성립되었다.
2) 무늬 없는 토기 문화가 중심이 되었다.
3) 분묘로서는 고인돌이 축조되었다.
4) 원시적인 농경 생활이 영위되었다.

3. 고구려와 부여의 공통점으로 바른 것은?
1) 데릴사위제 2) 옥저 복속
3) 중앙 집권 강화 4) 점복의 유행

4. 통일 신라 민정문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중원경 부근의 4개촌에서 실시하였다.
2) 장적은 2년에 한 번씩 작성되었다.
3) 인구 조사는 부역에 동원할 수를 조사하는 것이다.
4) 연령과 성별에 따라 9등급으로 하였다.

5. 조선 초기의 사회 신분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려에 비하여 신분계층간의 경제적 불평등이 완화되었다.
2) 노비 변정사업으로 양인의 수가 증가되었고 노비의 지위도 개선되었다.
3) 고려 시대의 권문 세족이나 지방 지주들이 누리던 특권을 많이 제어하였다.
4) 벼슬할 자격이 있는 세습 신분을 뜻하는 특권 양반층이 형성되었다.

6. 공민왕의 반원 개혁정치가 실패한 가장 근본적인 요인은?
1)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2) 몽고의 침입
3) 원의 내정 간섭
4) 신진사대부 세력의 미약

7. 다음의 사항들을 연대순으로 나열하면?
 ㄱ. 독서 출신과의 설치  ㄴ. 불국사 창건
 ㄷ. 국학 설치   ㄹ. 삼대목 편찬

1)  ㄷ-ㄴ-ㄱ-ㄹ  2) ㄱ-ㄴ-ㄷ-ㄹ 
3)  ㄴ-ㄷ-ㄱ-ㄹ 4) ㄹ-ㄷ-ㄴ-ㄱ 
 
8. 다음 중 군사제도(중앙-지방)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조선 전기: 5위 - 주진군
2) 고려: 2군 6위 - 주현군
3) 통일신라: 9서당 - 10정
4) 조선 후기: 5군영 - 속오군

9. 미국과 한.미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때는 언제인가?
1) 휴전협정 성립 2) 6.25 이전
3) 5.16 군사 정변 이후 4) 4.19 혁명 이후

10. 다음 중 신간회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민족 유일당
2) 국외 독립운동기지 건설
3) 민족의 단결 촉구
4) 4.19 혁명 이후

11. 다음 중 고려 태조의 정책으로 틀린 것은?
1) 호족 융합 정책을 실시하였다.
2) 정략 결혼의 방편을 취했다.
3) 사대 교린 정책을 취했다.
4) 훈요 10조에서는 불교를 숭상하였다.

12. 조.미 수호 통상 조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포교의 자유를 인정한다.
2) 최혜국 조관 등이 규정되어 있다.
3) 양국 중 한 나라가 제3국의 압박을 받을 경우에 서로 돕고 거중 조정을 한다.
4) 러시아와 일본 세력을 견제한다.

13. 다음 중 조선 시대의 사회상이 아닌 것은?
1) 호패법, 오가작통법을 강화하여 농민을 통제하고자 한다.
2) 과전은 수신전.휼양전이라는 이름으로 세습되었다.
3) 공사(公私)의 솔거노비는 천민이었으나 독립된 생활을 하고 있어서 전호와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
4) 환곡 제도는 당초 구휼을 목적으로 실시되었으나 농민을 상대로 일종의 고리대로
변해갔다.

14. 다음 중 동학 사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종교로서 샤머니즘과 도교에 가깝다.
2) 인내천 사상을 바탕으로 평등주의와 인도주의를 지향하고 있다.
3) 동학은 주리론에 가깝다.
4) 보국안민을 내세워 서양과 일본의 침투를 배척하였다.

15. 통일 신라 전기의 불교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불교가 민중에 널리 전파되었다.
2) 참선을 중시하였다.
3) 교, 선의 통합 노력이 전개되었다.
4) 정부의 탄압으로 교세가 약화되었다.

16. 대한 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의의가 아닌 것은?
1) 민족사적 정통성 회복
2) 3.1 운동 지휘
3) 독립운동의 중추적 역할 담당
4) 민주 공화 정부

17. 정약용의 경세유표의 내용으로 바른 것은?
1) 형벌제도의 개혁 주장
2) 지방제도의 개혁 주장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