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료실

2005년 4월 3일 경기도 공통과목 - 국어, 영어, 한국사
Date. 2005.04.15
2005년 4월 3일 경기도 기출문제 (국어)


1. 다음 한자어의 풀이가 틀린 것은?
① 미상불(未嘗不) - 아닌게 아니라
② 언필칭(言必稱) - 이른바
③ 이왕지사(已往之事) - 이미 지나간 일
④ 부득불(不得不) - 아니할 수 없어
답) ②
해설) 언필칭(言必稱) - 말을 할 때마다 반드시


2. 다음 예문에서 보듯이 한자의 뜻을 빌어 지명을 표기한 예로 제시하기에 적절하지 못
한 것은?
영동군(永同郡)은 본래 길동군(吉同郡)인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으며, 지금 이를 그대로
쓰고 있다. 永同郡 本吉同郡 景德王改名 今因之

① 벌말 → 평촌(平忖)
② 삼베 → 마포(麻布)
③ 밤실 → 율곡(栗谷)
④ 화성 → 수원(水原)
답) ④
해설) 화성(華城)은 수원성을 가리키는 한자어이다.


3. 우리말과 한자어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것 중 틀린 것은?
① 너희들 어릴 때 여기 와서 놀던 생각나니? → 기, 회상(回想)
② 경수는 잠시 생각에 잠겼다가 다시 말을 했다. → 사고(思考), 사색(思索)
③ 깊은 밤이어서 그런지, 생각보다 훨씬 사람이 적었다. → 의중(意中), 심중(心中)
④ 생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좀더 기다렸다가 행동할거야. → 분별력(分別力), 판단력(判斷
力)
답) ③
해설) 예상(豫想); 어떤 일을 직접 당하기 전에 미리 생각하여 둠. 또는 그런 내용

4. 다음 글에 나타나는 덕목과 관련 있는 판소리계 소설은?
니보 뇽안현 사이니 그 아비 방이 사오나온 병을 어더 거의 죽게 되니 구여도 효
험이 업서 일야의 우더니 메 즁이 고여 닐오 산 사의  머그면 가히 됴리라
. 뵈 즉시 놀라라 손가락을 벼혀 약글 라  받오니 아 병이 즉시 됴니라.


① 춘향전 ② 심청전
③ 흥부전 ④ 별주부전

답) ②
해설) 7차 지문에 나오는 이보할지로 이보가 자신의 손가락을 끊어 아버지를 봉양한 것을
말하므로, 심청전의 효와 일맥 상통한다.

5. 다음 중 한자어가 맞는 것은?
① 誇張 - 오장 ② 捺印 - 무인
③ 歪曲 - 정곡 ④ 貶下 - 폄하
답) ④
해설) ① 誇張(과장), ② 捺印(날인), ③ 歪曲(왜곡)

6. 다음 소설의 서술 시점에 대한 특징으로 올바른 것은?

선술집은 훈훈하고 뜨뜻하였다. 추어탕을 끓이는 솥뚜껑을 열 적마다 뭉게뭉게 떠오르는
흰 김, 석쇠에서 빠지짓 빠지짓 구워지는 너비아니 구이며, 제육이며, 간이며, 콩팥이며,
북어며, 빈대떡..... 이 너저분하게 늘어놓은 안주 탁자에 김첨지는 갑자기 속이 쓰려서 견
딜 수 없었다. 마음대로 할양이면 거기 있는 모든 먹음 먹이를 모조리 깡그리 집어삼켜도
시원치 않았다. 하되, 배고픈 이는 우선 분량 많은 빈대떡 두 개를 쪼이기로 하고 추어탕
을 한 그릇 청하였다. 주린 창자는 음식 맛을 보더니 더욱더욱 비어지며 자꾸자꾸 들이라
들이라 하였다. 순식간에 두부와 미꾸리 든 국 한 그릇을 그냥 물같이 들이키고 말았다. 첫
째 그릇을 받아들었을 제 데우던 막걸리 곱빼기 두 잔이 더 왔다. 치삼이와 같이 마시자 원
원이 비었던 속이라 찌르르 하고 창자에 퍼지며 얼굴이 화끈하였다. 눌러 곱빼기 한 잔을
또 마셨다.

*너비아니: 얄팍하게 저며 갖은 양념을 하여 구운 쇠고기.
*원원이 : 본래부터

① 주인공의 내면을 숨김으로써 긴장과 경이감을 드러낸다.
② 인물과 독자와의 심리적 거리가 가깝고, 독자에게 친근감을 준다.
③ 현대 사실주의 소설에 많이 쓰였으며 극적, 객관적 특성을 갖고 있다.

④ 서술자가 작품에 직접 개입하여 독자의 상상적 참여를 제한한다.

답) ④
해설) 전지적 작가 시점의 특징을 묻고 있다.

7. `경기도’의 로마자 표기로 알맞은 것은?

① Gyeonggi-do ② Kyeonggi-do
③ Gyounggi-do ④ Kyounggi-do
답) ①

8. 다음 보기의 오류로 알맞은 것은?


스쿠루지 사장님, 제 남편의 월급을 올려주시는 것은 마땅합니다. 사장님이 주시는 월급으
로는 도저히 제 아이들을 키울 수가 없습니다. 게다가 저의 막내아들 팀이 지팡이 없이 걷
기 위해서는 꼭 수술을 해야 합니다.

① 부적절한 권위에의 호소
② 선결문제 요구의 오류
③ 연민에의 호소
④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답) ③
해설) 동정심에 호소하고 있으므로 연민에의 오류이다.

9. 우리말의 특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못’은 능력이나 기대의 부정에 쓰인다.
② `책을 단숨에 읽었다’에는 완료상이다.
③ `이, 히, 리, 기’는 사동과 피동에 모두 쓰이는 접사이다.
④ 상대